조형 (조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형은 조선 인조 시대의 문신으로, 1630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충청도 관찰사, 판의금부사 등을 역임했다. 1655년에는 통신사로 일본을 방문하여 《부상일기》를 기록했다. 그의 역사적 중요성은 1834년 동양 번역 기금에서 발행한 역사서에 언급되면서 확인되었으며, 서양에서는 1832년의 《삼국통람도설》과 1834년의 《일본왕대일람》에 관련 내용이 언급되었다. 조형의 가계는 사헌부 감찰 조기를 조부로, 승지 조희보를 아버지로 두었으며, 사천 목씨와 혼인하여 자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79년 사망 - 다테 무네카쓰 (에도 시대)
다테 무네카쓰는 에도 시대 센다이 번 초대 번주 다테 마사무네의 아들로, 형의 사후 번주를 보좌하며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다테 소동으로 인해 개역되어 유배지에서 사망했다. - 1679년 사망 - 토머스 홉스
토머스 홉스는 17세기 영국의 철학자이자 정치 사상가로서, 《리바이어던》을 통해 사회 계약론을 제시하며 근대 정치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고, 자연 상태를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으로 보고 사회 계약을 통해 국가가 성립된다고 주장했다. - 1606년 출생 - 샤쿠샤인
샤쿠샤인은 17세기 중반 홋카이도 히다카 지방의 메나시쿨 집단 소을명으로, 마쓰마에 번의 착취에 저항하여 1669년 봉기를 일으켰으나 진압되었고, 그의 봉기는 아이누 민족 저항과 마쓰마에 번의 억압적 지배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으로 기념되고 있다. - 1606년 출생 - 윤문거
윤문거는 조선 시대 문신이자 학자로, 인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역임했으나 효종 때 관직을 사양하고 학문 연구에 전념하며 성리학에 비판적인 독자적인 학문 세계를 구축한 인물이다. - 조선통신사 관련자 - 신숙주
신숙주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언어학자, 외교관, 정치인으로,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고 세조 즉위 후 주요 관직을 역임하며 외교와 국방에 기여했으며, 《해동제국기》, 《동국정운》 등의 저술을 남기고 영의정을 지냈다. - 조선통신사 관련자 - 윤지완
윤지완은 조선시대 외교관으로 1682년 숙종의 명령을 받아 일본에 파견되어 조선과 일본 간 무역을 위한 정치적 기반을 구축하고 양국 관계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이조판서 윤강의 아들이다.
조형 (조선) | |
---|---|
기본 정보 | |
이름 | 조형 |
한자 | 趙珩 |
자 | 희옥(希玉) |
호 | 곡운(谷雲), 동강(東岡) |
본관 | 한양(漢陽) |
생애 | |
출생 | 1606년 |
사망 | 1679년 |
시대 | 조선 |
가족 | |
아버지 | 조위(趙緯) |
어머니 | 정부인(貞夫人) 파평 윤씨(坡平 尹氏) |
부인 | 정부인(貞夫人)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아들 | 조상우(趙相愚) 조상우(趙相遇) 조상기(趙相箕) |
관력 | |
과거 | 문과 급제 (1646년) |
관직 | 지평(持平) 장령(掌令) 집의(執義) 사간(司諫) 보덕(輔德) 필선(弼善) 승지(承旨) 대사성(大司成) 대사간(大司諫) 이조참판(吏曹參判) 형조참판(刑曹參判) 병조참판(兵曹參判) 공조참판(工曹參判)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 도승지(都承旨) 대사헌(大司憲) 한성부윤(漢城府尹) 개성부유수(開城府留守) 강원도관찰사(江原道觀察使) 황해도관찰사(黃海道觀察使) 형조판서(刑曹判書) 공조판서(工曹判書) 지경연사(知經筵事) 지성균관사(知成均館事) 예조판서(禮曹判書) 좌참찬(左參贊) |
저서 | |
주요 저서 | 《곡운집(谷雲集)》 《동강집(東岡集)》 |
2. 생애
조형은 1630년(인조 8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충청도 관찰사, 도승지, 대사간, 예조참판, 경기도 관찰사, 대사헌, 형조판서, 공조판서, 예조판서, 우참찬, 좌참찬, 판의금부사 등을 지냈다. 1655년에는 통신사로 일본에 다녀와 《부상일기(扶桑日記)》를 저술하였다.
2. 1. 관직 생활
1630년(인조 8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충청도 관찰사, 도승지, 대사간, 예조참판, 경기도 관찰사, 대사헌, 형조판서, 공조판서, 예조판서, 우참찬, 좌참찬, 판의금부사를 지냈다. 1655년 통신사로 일본에 다녀와 《부상일기(扶桑日記)》를 기록하였다.2. 2. 1655년 일본 통신사
1655년 조선 효종은 도쿠가와 이에쓰나의 쇼군 조정에 사절단을 파견했다.[2] 이 외교 사절단은 무역을 위한 정치적 기반을 구축하는 통로로서 일본과 조선 모두에게 이점으로 작용했다.[3]조선 조정은 이 사절단을 명확히 "통신사"로 규정했다. 이 사절단은 관계가 "정상화"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4]
사절단은 당시 일본에서 사용되던 달력에 따라 메이레키 원년에 일본에 도착했다.[2] 조형은 조선 사절단의 수석 사절이었으며,[1] 에도에서 쇼군 조정의 접대를 받은 후 닛코의 도쇼구로 행렬을 지어 이동했다.[5]
2. 3. 서양에서의 인식
조형의 역사적 중요성은 1834년 동양 번역 기금에서 발행한 널리 배포된 역사서에 그의 임무와 이름이 구체적으로 언급되면서 확인되었다.[2]서양 문화에서 초기에 출판된 조선에 대한 기록은 많지 않지만, 1832년 파리에서 출판된 ''삼국통람도설''[6]과 1834년 파리에서 출판된 ''일본왕대일람''에서 찾아볼 수 있다. 조선의 외교 관계와 외교는 1834년 작품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된다.
3. 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조부 | 조기(趙磯) | 사헌부 감찰 |
아버지 | 조희보(趙希輔) | 승지 |
친모 | 강릉 최씨 | 최문(崔文)의 딸 |
계모 | 교하 노씨 | 노직(盧稙)의 딸 |
부인 | 사천 목씨 | 목장흠(睦長欽)의 딸, 목첨(睦詹)의 손녀 |
장인 | 목장흠(睦長欽) | 호조참판 |
장인의 아버지 | 목첨(睦詹) | 이조참판 |
형 | 조민(趙珉) | |
아들 | 조상정(趙相鼎) | 진사, 숙부 조민(趙珉)의 양자가 됨 |
며느리 | 남양 홍씨 | 관찰사 홍명일(洪命一)의 딸 |
손녀 | 청송 심씨 | 심정협(沈廷協)에게 시집감 |
손녀사위 | 심정협(沈廷協) | 영의정 심지원의 손자, 효종의 부마 청평도위 심익현(靑平都尉 沈益顯)의 차남, 상의원 첨정 |
사위 | 심추(沈樞) | 청송 심씨, 인조반정 정사공신 1등 공조참판 청운군 심명세(靑雲君 沈命世)의 양자, 여주목사 |
아들 | 조상변(趙相抃) | |
아들 | 조상기(趙相槩) | |
아들 | 조상우(趙相愚) | 1640년 출생 - 1718년 사망 |
딸 | 풍양 조씨 |
참조
[1]
서적
Korea in the middle: Korean studies and area studies
2007
[2]
서적
[3]
논문
Foreign Affairs and Frontiers in Early Modern Japan: A Historiographical Essay
2002
[4]
서적
Frontier contact between Chosŏn Korea and Tokugawa Japan
https://books.google[...]
2003
[5]
서적
State and Diplomacy in Early Modern Japan: Asia in the Development of the Tokugawa Bakufu
1991
[6]
웹사이트
Accidental acquisitions: The nineteenth-century Korean collections in the National Museum of Ethnology, Part 1
http://www.rmv.nl/p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